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부동산 개념] '항아리 상권' 쉽게 읽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개념을 쉽게 읽어주는 '부동산 알파줄루'입니다. 오늘은 '항아리 상권'이라는 개념을 쉽게 읽어볼게요. 항아리 상권 '항아리 상권'이란 한 지역에 국한된 상업 지역으로, 더 넓게 확장되지 않으면서도 그 지역의 소비자들을 유지하는 상권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그 형태가 마치 항아리처럼 중심부에 상점이 밀집되어 있고, 바깥으로 갈수록 상점 수가 줄어드는 모습에서 유래했습니다. 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나 주거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에 큰 쇼핑몰이나 다른 상업 지역이 없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주된 고객이 됩니다. 즉, 지역 수요를 꽉 붙잡는 형태의 상권인 것이지요. 목동 서울의 대표적인 항아리 상권으로 목동이 있습니다. 목동은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 지역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 2023. 11. 24.
[부동산 기사 쉽게 읽기] 서울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제한기간' 대폭 단축 안녕하세요, 부동산 기사를 쉽게 읽어주는 '부동산 알파줄루'입니다. 오늘은 '전매 제한 기간 단축'과 관련된 기사를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매 전매는 이미 구매한 분양권이나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다시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분양권을 가진 사람이 그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팔 때 이를 '전매'라고 부릅니다. 전매 제한 전매 제한은 아파트와 같은 주택을 분양받은 사람이 정해진 기간 동안 그 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팔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주로 실수요자(부동산을 투기나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는 사람들과는 달리, 직접 살기 위해 집을 구입하는 사람)를 보호하고 부동산 시장의 투기를 억제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전매 제한은 1981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2017년 6.19 대책으로 분양권의 전매가.. 2023. 11. 24.
[부동산 개념] '시행사 & 시공사' 쉽게 읽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개념을 쉽게 읽어주는 '부동산 알파줄루'입니다. 오늘은 '시행사와 시공사'가 무엇인지 쉽게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행사와 시공사는 부동산 개발과 건축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주체들입니다. 시행사 시행사는 부동산 개발 사업의 실질적인 운영 주체입니다. 이들은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관리하고 책임집니다. 부지 매입부터 시작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건축에 필요한 각종 인허가를 받으며, 분양 과정과 계약, 최종 입주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총괄합니다. 시행사는 때때로 '디벨로퍼(Developer)'로도 불리며, 민간 아파트 프로젝트에서는 부동산 개발회사, 재건축 프로젝트에서는 재건축 조합 등이 시행사 역할을 합니다. 시공사 공사는 시행사로부터 건물 건설을 위한 발주를 .. 2023. 11. 23.
[부동산 개념] '유동성' 쉽게 읽기 : 유동성이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부동산 개념을 쉽게 읽어주는 '부동산 알파줄루'입니다. 오늘은 '유동성'이라는 개념이 뭔지, 그리고 이 개념이 부동산 시장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쉽게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동성이 높다? '유동성이 높다'는 말은, 간단히 말해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있고, 그 돈이 쉽게 이동하며 사용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유동성이 높은 상태에서는 사람들이 자금을 더 쉽게 구할 수 있고, 이 돈을 사용하여 부동산 등을 구매하는 것이 용이해집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 낮은 이자율로 대출을 쉽게 해주거나, 정부가 경제에 자금을 투입하는 경우, 시장의 유동성이 증가합니다. 이렇게 돈이 쉽게 구해지고, 빠르게 거래될 수 있을 때, '유동성이 높다'고 합니다. 반대로, 대출이 어렵고, 사람들이 돈을 지출하는 데 주저.. 2023. 11. 23.
반응형